반응형
안녕하세요, 어떤 학습이든 독서라는 요소는 빼 놓을 수 없는 부분인데요, 오늘은 독서토론 한마당 및 논제 공모전에서 선정된 논제와 관련 도서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독서토론 한마당은 독서를 통해 지식을 넓히고, 다양한 시각에서 주제를 탐구하며,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이 되기도 하는데요, 어떤 것으로 독서토론을 주제를 잡을까 고민하는 학생들을 위해 기출 논제들을 준비했습니다. 다양한 독서토론 공모전들이 있겠지만 공모전마다 참신하고 깊이 있는 논제들이 선정되어 독서토론의 매력을 한층 더 돋보이게 하고 있기도 합니다.
최근에 독서토론 공모전과 관련한 논제들과 관련된 도서들의 내용을 톺아보았습니다.
목차
독서토론 공모전의 기출 논제 톺아보기
초, 중등 영역으로 나누어 독서토론 한마당에서 실시했던 논제들과 관련 도서를 점검해 보았습니다. 이전에 포스팅했던 추천도서들과 겹치는 것들도 있습니다.
초등에서 실시했던 독서토론 논제들
년도 | 초등 | |
논제 | 관련도서 | |
2024 |
친구, 가족, 마을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내 마음을 어떻게 표현하는 게 좋을까? | 우쓰기 미호(2013), 《상어 마스크》, 책읽는곰. |
[초중등 공통] 우리는 최소주의(미니멀리즘)의 삶을 추구해야 한다. |
사사키 후미오(2015), 《나는 단순하게 살기로 했다》, 비즈니스북스. |
|
2023 |
호진이가 집을 나간 것은 타당하다. | 불량한 자전거 여행1 (김남중, 창비, 2019) |
2022 |
아동 및 청소년 보호를 위한 인터넷 방송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 생각이 크는 인문학17: 미디어 리터러시(을파소) |
2019 |
영서는 규칙을 지켜야 한다. | 댕기머리탐정 김영서 (뜨인돌어린이) |
2018 |
블랑게뜨의 행동(가출)은 옳다 | 스갱 아저씨의 염소(파랑새) |
2017 |
시애틀 추장 (한마당) |
|
2016 |
엄마의 행동(가출)은 옳다 | 돼지책 (김영사) |
중등, 고등 독서토론의 논제들
년도 | 논제 | 관련 도서 |
2024 |
인간의 이익을 위해 동물을 희생해도 된다. |
소윤경(2013), 《레스토랑 Sal》, 문학동네. |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를 해결을 위해 소수의 인권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한가? |
로이스 로리(2007), 《기억전달자》, 비룡소. |
|
재개발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가? |
조세희(2024),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이성과 힘. |
|
[고등] 개인의 성공은 사회적 책임이다. |
마이클 샌델(2020), 《공정하다는 착각》, 와이즈베리. |
|
2023 |
[중등] -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 가정의 경제적 상황을 어디까지 알아야 할까? - 가정 경제력에 우리가 참여하는 부분은 어디까지일까? - 청소년에게 실질적인 경제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
『괜찮아 해피엔딩이야』 (이옥수, 뜨인돌, 2022) |
[고등 1차] 안면인식 CCTV의 설치를 확대해야 한다. |
『나를 쫓는 천 개의 눈』 (서석영 글 주성희 그림, 내일을 여는책, 2019)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7 프라이버시와 감시』 (캐스 센커 지음 이주만 번역, 내인생의책, 2013) 『호모사피엔스 씨의 위험한 고민』 (이창무 외, 메디치미디어, 2016) |
|
[고등 2차] 촉법소년의 기준연령을 만 12세로 낮추어야 한다. |
『죄와 벌』 (도스토예프스키 원작, 김연경 역, 민음사, 2012) 『죽이고 싶은 아이』 (이꽃님 지음, 우리학교, 2021) 『괴물이 된 아이들』 (강미 외 지음, 넥서스, 2022) |
|
[고등 3차] 인간은 동물권을 보호하는 소비를 해야 한다. |
환경과 생태를 쫌 아는 10대 (풀빛) |
|
[고등 4차] 각종 인터넷 방송 매체에 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
생각이 크는 인문학17: 미디어 리터러시(을파소) |
|
2022 |
안면인식 CCTV의 설치를 확대해야 한다. | 『나를 쫓는 천 개의 눈』 (서석영 글 주성희 그림, 내일을 여는책, 2019)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7 프라이버시와 감시』 (캐스 센커 지음 이주만 번역, 내인생의책, 2013) 『호모사피엔스 씨의 위험한 고민』 (이창무 외, 메디치미디어, 2016) |
2021 |
촉법소년의 기준연령을 만 12세로 하향해야 한다. | 『죄와 벌』 (도스토예프스키 원작, 윤송 지음, 고래의 숲, 2019) 『죽이고 싶은 아이』 (이꽃님 지음, 우리학교, 2021) 『괴물이 된 아이들』 (강미 외 지음, 넥서스, 2022) |
2020 |
인간은 동물권을 보호하는 소비를 해야 한다. | 환경과 생태를 쫌 아는 10대(풀빛) |
2019 |
[사전 논제] 경제 성장은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킨다. [현장 논제] 아파트 건설 반대 운동을 한 이장(작가)의 행동은 옳다. |
잘산다는 것 (너머학교) |
2018 |
욕망은 성장의 원동력이다. | 미치도록 가렵다 (자음과 모음) |
2017 |
1. 과학기술은 인간의 자유를 증대시킨다. 2. 맞춤형 아기를 법적으로 허용해야 한다. |
철학, 과학기술에 말을 걸다 (주니어김영사) |
2016 |
결핍, 스스로 극복할 수 있다. 진로는 자신의 뜻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
모두깜언(창비) |
반응형